부가설명준비중
Coaching is partnering with clients in a thought-provoking and creative process that inspires them to maximize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potential
코칭이란 고객의 개인적, 전문적인 잠재 가능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영감을 불어넣고 사고를 자극하는 창조적인 과정(프로세스) 속에서 고객과 파트너십을 맺는 것이다.
- 국제코칭연맹(ICF)
개인과 조직의 잠재력을 극대화하여
최상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 수평적 파트너십이다.
- (사)한국코치협회
코치의 어원을 살펴보면 헝가리의 마차에서 유래하였다. 해외여행을 하다 보면 큰 관광버스에 ‘coach’라고 적힌 것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코치(coach, 마차)와 기차(train)의 차이를 비교해보면 현재의 코칭과 트레이닝의 특성을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코치는 사륜마차로서 고객이 원하는 곳에서 승차하여 원하는 속도로 원하는 목적지까지 갈 수 있다. 반면에 트레인(기차)은 정해진 스케쥴에 따라 정해진 선로로 이미 정해진 정거장에 도착한다. 코칭은 마차와 같이 고객이 원하는 이슈로 고객이 중심이 되어 고객의 언어와 고객의 스타일에 맞춰 고객의 방법으로 고객 스스로 해답을 찾아가고 행동하는 프로세스이다. 반면에 트레이닝은 강사가 사전에 트레이닝의 아젠더를 선정하고 그 아젠더에 맞는 교육내용을 준비하고 교육참가자들에게 전달하게 된다.
코칭을 비유하는 말로 줄탁동시(崪啄同時)가 자주 언급된다. 병아리가 알 속에서 밖으로 나오기 위해 안에서 스스로 껍질을 쫄 뿐만 아니라 어미가 밖에서 동시에 쪼아주어야 한다. 어미가 너무 일찍 쪼게 되면 병아리는 부화되지 못하고 죽게 된다.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지원이 바로 코칭이다. 코칭과 관련해서 많이 사용되는 또 다른 비유는 ‘마중물’이다. 우물 안에 물이 많이 있어도 메마른 펌프질로는 물을 길러 올릴 수가 없다. 그래서 우물가에는 항상 물이 한 바가지 담겨있다. 이것이 마중물이다. 모든 인간은 내면에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지만 혼자 힘으로는 그 능력을 표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코치가 마중물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한국코치협회(KCA) 코칭역량은 유사 영역과의 차별성과 코칭의 고유한 전문성을 확보한 코치다움과 코칭다움을 기반으로 8가지 역량으로 정립된다. ‘코치다움’은 개인의 삶과 코칭 현장에서 코칭 윤리를 실천하며 자기인식과 자기 관리를 바탕으로 전문 계발을 할 때 드러나고, ‘코칭다움’은 코칭 현장에서 고객과 신뢰 관계를 구축하고 적극 경청과 의식 확장을 통해 고객의 성장을 지원할 때 발현된다.
역량군 | 역량 |
---|---|
A. 코치다움 | 1. 윤리 실천 (사)한국코치협회에서 규정한 기본 윤리, 코칭에 대한 윤리, 직무에 대한 윤리, 고객에 대한 윤리를 준수하고 실천한다. |
2. 자기 인식 현재 상황에 대한 민감성을 유지하고 직관 및 성찰과 자기 평가를 통해 코치 자신의 존재감을 인식한다. |
|
3. 자기 관리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안정 및 개방적, 긍정적, 중립적 태도를 유지하며 언행을 일치시킨다. |
|
4. 전문 계발 코칭 합의와 과정 관리 및 성과 관리를 하고 코칭에 필요한 관련 지식, 기술, 태도 등의 전문 역량을 계발한다. |
|
B. 코칭다움 | 5. 관계 구축 고객과의 수평적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신뢰감과 안전감을 형성하며 고객의 존재를 인정하고 진솔함과 호기심을 유지한다. |
6. 적극 경청 고객이 말한 것과 말하지 않은 것을 맥락적으로 이해하고 반영 및 공감하며, 고객 스스로 자신의 생각, 감정, 욕구, 의도를 표현하도록 돕는다. |
|
7. 의식 확장 질문, 기법 및 도구를 활용하여 고객의 의미 확장과 구체화, 통찰, 관점 전환과 재구성, 가능성 확대를 돕는다. |
|
8. 성장 지원 고객의 학습과 통찰을 정체성과 통합하고, 자율성과 책임을 고취한다. 고객의 행동 전환을 지원하고, 실행 결과를 피드백하며 변화와 성장을 축하한다. |
국제코칭연맹(ICF) 은 코칭의 핵심역량으로 8가지를 정의하고 있다.
코칭윤리와 전문가로서의 기준 준수 코칭의 윤리와 기준을 이해하고 있으며 모든 코칭 상황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는 능력
본 번역은 ICFKorea Chapter에서 배부한 것을 기반으로 CIT코칭연구서에서 수정한 것입니다.
역량군 | 역량 |
---|---|
A. 기반세우기 (Foundation) |
1. 윤리적 실천을 보여준다. (Demonstrates Ethical Practice) 코칭윤리와 코칭표준을 이해하고 지속적으로 적용한다. |
2. 코칭 마인드셋을 체화하고 구현한다. (Embodies a Coaching Mindset) 개방적이고, 호기심이 많으며, 유연하고 고객 중심적인 마인드셋을 개발하고 유지한다. |
|
B. 관계의 공동구축 (Co-Creating the Relationship) |
3. 합의를 확립하고 유지(&보수) 한다. (Establishes and Maintains Agreements) 고객 및 이해 관계자와 협력하여 코칭관계, 프로세스, 계획 및 목표에 대한 명확한 합의를 한다. 전체 코칭 수임에 대한 합의뿐만 아니라 개별 코칭세션에 대한 합의도 수립한다. |
4. 신뢰와 안전감을 조성한다. (Cultivates Trust and Safety) 고객과 함께, 고객이 자유롭게 나눌 수 있는 안전하고 지지적인 환경을 만든다. 상호 존중과 신뢰 관계를 유지한다. |
|
5. 프레즌스를 유지(&보수)한다. (Maintains Presence) 개방적이고 유연하며 중심을 잡고 자신감 있는 태도로 완전히 깨어서 고객과 함께 한다. |
|
C.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기 (Communicating Effectively) |
6. 적극적으로 경청한다. (Listens Actively) 고객의 시스템 맥락에서 전달하는 것을 충분히 이해하고, 고객의 자기표현(self-expression)을 돕기 위하여 고객이 말 한 것과 말하지 않은 것에 초점을 맞춘다. |
7. 알아차림을 불러일으킨다. (Evokes Awareness) 강력한 질문, 침묵, 은유(metaphor) 또는 유추(analogy)와 같은 도구와 테크닉을 사용하여 고객의 통찰과 배움이 쉽게 이루지도록 한다. |
|
D. 배움과 성장 북돋우기 (Cultivating Learning and Growth) |
8. 고객의 성장을 용이하게 한다. (Facilitates Client Growth) 고객이 배움과 통찰을 행동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협력한다. 코칭과정에서 고객의 자율성을 적극 고취한다. |
코칭에서는 계약을 체결함과 동시에 코칭관계(coaching relationship)가 공식적으로 성립한다. 계약은 유료, 무료(프로보노)가 다 가능하며 보통은 문서로 작성하지만 구두로 진행할 수도 있다.
코치와 고객이 직접 만나 코칭을 진행할 수도 있고, 전화나 줌(Zoom)을 통해 비대면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줌을 사용한 코칭이 활성화되어 그 이후에도 온라인 코칭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심리치료는 고통, 기능장애, 개인 내면 혹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의 갈등을 치유(healing)하는 것이다. 반면에 코칭은 구체적인 행동적 결과를 지향하며 자발적인 변화에 기초하여 개인적, 전문적 성장을 지원한다. 긍정적인 감정, 정서가 코칭의 자연스런 결과이기는 하지만 코칭의 최우선적인 관심은 개인의 삶, 직장의 삶에서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행동적 전략을 만들어내는 데에 있다. 코칭관계에 있어 강조하는 것은 행동에 대한 의지와 그 행동을 실행하는 것이다.
컨설턴트는 문제를 진단하고 처방을 내리고 어떤 때는 해결책을 제공한다는 전제를 가지고 있다. 반면에 코칭은 ‘개인과 팀은 코치와 함께 스스로의 해결책을 만들어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전제’를 가지고 있다.
멘토는 자기 자신의 경험에 근거하여 지혜를 제공하고 지도하는 전문가이다. 멘토링은 조언, 카운셀링, 코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코칭 프로세스는 조언이나 카운셀링을 포함하지 않는다. 코칭은 개인 혹은 팀이 스스로의 목표를 세우고 달성하는 데 집중한다.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트레이너 혹은 강사가 의도하는 목적에 근거하여 운영된다. 반면에 코칭에서는 코치의 도움을 받아 코칭 프로세스 안에서 목표가 명확히 되지만 고객(개인, 팀, 그룹) 스스로 목표를 설정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코칭에서 스포츠코치가 은유적으로 많이 사용되고는 있으나 전문코치는 스포츠코치와 다르다. 스포츠코치는 그들의 뛰어난 경험이나 지식을 근거로 하여 개인과 팀의 행동을 가이드하고 지시하는 전문가이다. 전문코치들도 이러한 자질을 가지고는 있으나 개인과 팀에 대한 전문성과 지식은 방향을 결정하는 데 사용할 뿐이다. 또한 행동이 잘 수행되거나 잘못 수행되는 것에 집중하지 않는다. 단지 개인의 장점과 능력에 따라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명확히 하는 데 집중한다.
- 국제코칭연맹(ICF)
개인과 조직의 성과 향상, 역량 강화, 리더십 개발, 조직문화 개선, 직무만족도 상승, 팀워크 향상 등 조직 이슈에 초점을 맞추는 코칭
삶의 균형, 인생의 의미 및 목적 발견, 삶의 질 향상, 인간관계 개선, 습관 개선, 시간 관리, 건강 증진, 자존감 향상, 과제 해결 등 인생의 전반적인 이슈를 다루는 코칭
진로 탐색, 취업 준비, 대학 전공 탐색, 경력 관리, 이직 및 전직, 은퇴 후 인생 2막 설계 등 일생의 커리어 이슈에 초점을 맞추는 코칭
이 외에도 학습 코칭, 부모 코칭 등 다양한 분야가 있습니다.